반응형
“골문을 지키는 선수가 아니라,
경기를 설계하는 첫 번째 선수입니다.”
한때 골키퍼는 슈팅을 막는 역할에만 충실하면 충분했습니다.
하지만 지금은 다릅니다.
현대 축구에서 빌드업 능력을 갖춘 골키퍼는
수비의 안정뿐 아니라,
공격의 리듬을 만들고, 경기를 푸는 열쇠가 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
이 새로운 골키퍼 유형인 **‘빌드업형 골키퍼’**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🧤 빌드업형 골키퍼란?
- 수비진과 함께 공을 소유하며 공격을 설계하는 골키퍼
- 패스 정확도와 시야,
그리고 상대 압박을 이겨내는 침착함이 요구됩니다 - 때로는 센터백처럼, 때로는 레지스타처럼
포지셔닝과 움직임의 주도성을 발휘합니다
🧠 전술적 특징
1. 짧은 패스로 빌드업 주도
- 풀백 또는 수비형 미드필더에게 짧고 정확한 패스
- 상대의 전방 압박을 이겨내기 위해
정확한 타이밍과 방향 선택이 중요
2. 롱패스 전개 능력
- 상대 라인을 한 번에 넘기는
정확한 롱패스를 통해 공격 전환 - 특히 윙어나 전진 배치된 풀백에게
노터치 패스를 넣는 능력도 중요
3. 포지셔닝의 유연성
- 빌드업 상황에서
센터백 사이로 내려오거나,
수비라인 뒤에서 숨어있는 패스 옵션으로 존재 - 상황에 따라 미드필더처럼 중앙으로 올라서기도 함
✅ 장점
- 수비 시 상대 압박을 무력화할 수 있음
- 전방 압박에 강한 팀에게 큰 전술적 효과
- 점유율 기반 축구에 안정감 제공
- 공격 전환 속도가 빨라짐
❌ 단점
- 발밑 불안 시 치명적인 실수로 연결될 위험
- 하프라인 넘어까지 전개하는 순간 상대 역습에 노출될 수 있음
- 세이브보다는 빌드업 능력 중심으로 기용될 경우
실점 상황에서 비판 받을 수 있음
🌍 대표 선수 사례
▪️ 마르크-안드레 테어 슈테겐 (독일, 바르셀로나)
- 정확한 패스, 침착한 압박 탈출 능력
- 페널티 박스 안에서의 빌드업 설계자
- 1:1 세이브 능력과 빌드업 기여를 모두 갖춘 완성형
▪️ 에데르송 (브라질, 맨시티)
- 펩 과르디올라 시스템의 핵심
- 골킥 하나로 공격수에게 찬스를 만들어주는 능력
- 압박이 강할수록 빛나는 골키퍼
▪️ 김정훈 (대한민국 U-20 대표)
- 2023 FIFA U-20 월드컵에서
수비수와의 패스 교환, 전진 패스 시도 등
대한민국 유스 시스템 내에서
‘발밑이 되는 골키퍼’로 평가받는 기대주
🔍 어떤 팀에 어울릴까요?
- 점유율을 중시하는 빌드업 팀
- 압박 탈출 능력이 중요한 전술 시스템
- 후방에서부터 경기를 조율하고 싶은 감독의 철학 하에
중앙 집중형 전술을 운영하는 팀
🎬 마무리하며
빌드업형 골키퍼는
단순히 ‘발재간이 좋은 골키퍼’가 아닙니다.
그들은 경기를 풀고, 수비를 지휘하며,
때로는 한 번의 패스로 전술을 실현하는 존재입니다.
“경기의 흐름은 골키퍼의 손끝이 아니라,
발끝에서 시작됩니다.”
💬
이 글이 빌드업형 골키퍼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셨다면,
공감과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도 나눠주세요.
여러분이 생각하는 최고의 빌드업형 골키퍼는 누구인가요?
'Pitch ⚽ > 포지션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버티드 풀백과 오버래핑 풀백의 차이점은? 현대 축구 전술 완전 정복 (9) | 2025.06.03 |
---|---|
하이 리스크 / 하이 리턴형 골키퍼 – 경계 위에서 춤추는 모험가 (0) | 2025.05.14 |
페널티킥 특화 골키퍼 – 심리와 반응의 12야드 싸움 (0) | 2025.05.14 |
라인 세이브형 골키퍼 – 반사신경으로 골문을 지키는 예술가 (2) | 2025.05.14 |
스위퍼 키퍼 – 수비의 끝이 아닌, 빌드업의 시작 (2) | 2025.05.14 |